클라우드컴퓨팅

[2] 클라우드의 경제성 및 결제

hyo1o 2025. 4. 11. 15:25

* 목차

[1]. 요금 기본 사항

[2]. 총 소유 비용

[3]. AWS Organizations

[4]. AWS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5]. 기술 지원

 

[1]. 요금 기본 사항

☑️ AWS 비용 동인 3가지 -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

1. 컴퓨팅

- 시간/초당 청구

- 인스턴스 유형에 따라 다름

2. 스토리지

- GB당 청구

3. 데이터 전송

- GB당 청구

-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 집계하여 청구 (내 서버, 클라우드 --> 외부)

- 인바운드 데이터 전송: 무료 (일부 예외) (외부 --> 내 서버, 클라우드)

- 동일한 AWS 리전내의 서비스 간 데이터 전송은 무료

 

☑️ AWS의 요금 지불 방식

1. 사용한만큼 지불

- 대규모 선불 지출 없이 사용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지불

- AWS: 피크가 발생할때만 비용을 늘려서 할당받는다. (효율적, 경제적)

- 온프레미스: 미리 지출(선불지출)이 필요하다. 

  ex) 한 달 후 이벤트가 있어서 피크를 대비해 미리 장비를 발주한다.

 

2. 예약 시 더 적은 비용 지불

- 최대 75% 절감

- AURI: 전체 선불 지급 예약 인스턴스 --> 가장 큰 폭의 할인

   ex) 3년 예약하고 3년치 사용료를 미리 첫 달에 바로 다 지불한다.

- PURI: 부분 선불 지급 예약 인스턴스 --> 낮은 폭의 할인

- NURI: 선불 지급 없는 예약 인스턴스 --> 더 적은 폭의 할인

  ex) 3년은 쓰겠다고 예약을 한다. 대신 매월마다 사용료를 지급한다.

 

3. 사용량과 AWS 규모가 증가하면 비용 절감액도 증가 --> AWS 성장에 따라 더 많은 비용 절감 가능

-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 절감도 증대

- 계층화된 요금제à를 사용하면 사용량이 늘수록 GB당 지불하는 비용 절감

- 요구 사항에 따라 여러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하여 스토리지 비용 절감

- 저장된 용량이 클수록 아웃바운드로 데이터 조회하는 트래픽이 클수록 단위 볼륨당 사용료는 내려감

- 사용자가 많으면 많을 수록 규모가 커지게 되기에 규모있게 운영하면 경제적 이득을 사용자 일부에게 돌려줌

- AWS 규모가 커지면 과금되는 비용이 점점 더 저렴해짐

- 사용량이 늘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총비용은 크게 줄어들지 않겠지만, 내가 사용하는 사용량이 늘면 단위 용량당 비용은 줄게된다.)

- 데이터를 많이 저장할수록 GB당 비용은 좀 더 할인해주는 이치

- S3에 최소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S3에 최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면 많이 절감함

 

☑️ 사용자 지정 요금제

- 다양한 요구사항 충족

- 대용량 프로젝트에 사용 가능

- 개인에게는 해당 X, 대기업/스타트업 성장세가 빠르면 AWS가 우호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제공

- 회사의 요구사항에 맞게 요금을 제시

 

☑️ AWS 프리티어

- AWS 플랫폼, 제품, 서비스 무료 체험

- 신규고객에게는 1년간 무료로 제공

- 단 용량 제한이 있어 주어진 용량을 다 사용하면 프리티어가 종료

 

[2]. 총 소유 비용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비교

- 인프라를 AWS로 이전하면 연간 최대 96%의 비용을 절감 가능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직접 소유, 설치, 운영하는 IT 인프라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
모든 서버, 네트워크, 시스템 회사 내부에서 관리 서버 설치, 장비 구매 필요 없기에 빠르게 확장/축소 가능

 

☑️ 총 소유비용 (TCO)

: 시스템의 직접 및 간접 비용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정적 추정

- 온프레미스와 AWS에서 전체 인프라 환경 또는 특정 워크로드 를 실행할 때의 비용을 비교하기 위해

- 클라우드로 이전하기 위한 예산을 책정하고 비즈니스 사례를 만들기 위해

 

☑️ TCO 고려사항 

- 서버 비용, 스토리지 비용, 네트워크 비용, IT 인건비


☑️ AWS 요금 계산기

- 월별 비용 추정 

- 솔루션 구축하기 전에 모델링

- 예상 비용에 대한 가격대와 계산 검토

- 예상 비용 이름 지정 및 서비스 그룹 생성 및 이름 지정

- 예상비용은 첫 12개월 총계, 전체 선불 지급액, 월별 총계로 나뉜다. 

- 시각화

 

[3]. AWS Organizations

: 여러 AWS 계정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해서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 Root 계정: 최상위 계정 1개, 관리자 역할

- OU (organization unit): aws account가 속함, 상위 OU에 속할 수 있음, 조직 구성 단위, 최대 1000개까지 가능

- policy: policy를 OU에 설정하면 OU밑에 있는 계정 다 영향받음, 최대 1000개까지 가능

- AWS Account: 실제 AWS 리소스를 사용하는 각 계정

 

☑️  AWS Organizations 주요 기능 및 이점

- 정책(policy) 기반 계정관리: 계층적 구조O, 상부가 하부조직까지 영향미침

- 그룹 기반 계정관리: 계층적 구조 X, 평면적 구조O, 독립적인 그룹

- 계정 관리를 자동화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

- 통합결제: AWS Account 사용자 1번, 2번, 3번이 비용을 발생시키면 Root계정자가 관리하여 한 번에 결제

 

☑️ AWS Organizations 보안

-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AWS IAM)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제어

- IAM 정책을 사용하면 AWS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그룹 및 역할의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거부

- 서비스 제어 정책(SCP)을 사용하면 AWS 서비스에 대한 조직구성단위(OU) 내 개인 또는 그룹 계정의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거부    (policy를 사용해서 OU단위로 보안을 설정해 access 전체를 접근할 수 있다)

- IAM과 Organization은 별개의 것이 아님

 

☑️ 조직 설정

- 1단계: 조직생성

- 2단계: 조직구성단위(OU) 생성

- 3단계: 서비스 제어정책 생성

- 4단계: 제한 사항테스트(권한을 제한/허용한다)

 

☑️ AWS Organizations 액세스

: 웹, 명령어, 코드 등의 방법으로 AWS Organizations에 접근 가능

 

1. AWS Management Console --> 웹에서 클릭

2. AWS CLI (Command Line Interface) --> 터미널, 명령 프롬프트

3.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 코드

4. HTTPS 쿼리 API --> API로 직접 요청

 

[4]. AWS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  AWS 결제 대시보드

☑️ 도구

- AWS Budgets: 비용 초과될 것 같을 때 알림

- AWS Cost and Usage Report: 비용 및 사용 보고서

- AWS Cost Explorer: 비용 시각화

 

[5]. 기술 지원

☑️ AWS support 

- 도구와 전문성을 고유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공함

  ㄴAWS support(계정 지원), AWS support 플랜

   ex) 결제 안될 시 이메일로 지원

 

- 사전 예방적 지침: TAM, Technical Account Manager(기술 계정 관리자 - Enterprise Support)

- 모범 사례: AWS Trusted Advisor

- 계정 지원: AWS Support Concierge

 

- 지원 플랜 4가지 - Basic, Developer, Business, Enterprise

1. Basic Support

- Resource Center 액세스, Service Health Dashboard, 제품 FAQ, 토론 포럼 및 상태 확인 지원

-  고객이 알아서 해결해야함, 직접 지원받을 수 있는게 없음

  ex) 경고메시지, 챗봇

2. Developer Support

- AWS 기반 초기 개발 지원

- business hour 시간동안 지원받을 수 있음, 퇴근하면 지원 못 받음

3. Business Support

- 프로덕션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고객

- 이슈 발생시 1시간 이내 응답

4. Enterprise Support

- 비즈니스 및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고객

- 대상: 대기업,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 운영자

- 비즈니스 핵심 서비스의 무중단 운영 보장

- 전담 TAM 제공

- business hour 아니어도 지원가능함, critical할 경우 15분 이내 지원 가능

 

💡핵심사항

- AWS 비용 동인 3가지 -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인바운드 무료)

- 총 소유비용 TCO

- AWS 요금 계산기

- AWS Organizations: 정책(계층적), 그룹(평면적)

- AWS support plan 4가지:  Basic, Developer, Business, Enterprise